| 연구자들이 'AMA Manual of Style'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
|---|---|---|---|---|---|---|---|
| 글쓴이 | 하리스코 | 작성일 | 2022-05-22 18:18:20 | 조회수 | 13739 | ||
AMA Manual of Style이란?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s Manual of Style은 바이오메디컬 사이언스(biomedical sciences) 분야의 저자 및 편집자들을 위한 안내서이다. 이 스타일 가이드(AMA Manual of Style)는 미국의사협회저널(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의 에디터들이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논문 저자들을 위해 편찬했다.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가 발간하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저널들이 많다. AMA Manual of Style은 미국의사협회 저널들에 바이오메디컬 논문을 출판하려는 저자들이 원고를 집필하고, 편집하는 데 유용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스타일 가이드는 인용이나 참고문헌 표기 방식(citation and referencing style)도 안내하고 있다. AMA Manual of Style의 활용 범위는?
The AMA Manual of Style은 1962년 처음 발간되었고 2020년에 11차 개정판이 나왔다. 이 스타일 가이드는 생물학 및 의학 연구자들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논문 출판 윤리 문제나 바이오메디컬 통계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된다.
이 스타일 가이드 출간위원회는 트위터 계정(@AMA Manual of Style)을 통해 활발하게 소통을 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관련한 새로운 전문용어들까지 업데이트하고 있다.
The AMA Manual of Style은 간호 등 보건(allied health) 분야 논문 작성에도 활용되며. 의학 및 보건 관련 교과서를 집필하는 데도 가이드북으로 쓰인다. 트위터에서 만나는 @AMA Manual of Style
의학분야 출판은 늘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따라 AMA Manual of Style은 의학분야의 최신 문헌들을 반영해 정기적으로 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의학저널에는 매일 다양한 형태의 논문이 올라오고 있으나,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실험연구 방식은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이다. 의학 논문의 스타일과 메카니즘은 문법과 구두법 (punctuation) 등에 많이 좌우되며, 특히 과학논문의 맥락에서 보면 더욱 그렇다. 유전학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 또한 유용하며, 이는 초보 편집자들이 유전자 부호나 염기서열(genetic coding and sequencing)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Harrisco는 전 세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논문 작성 워크숍을 개최해 오고 있으며, 과학논문을 작성하려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AMA Manual of Style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 오고 있다.
(* 위 글은 하리스코 영문 블로그 포스팅 'AMA Manual of Style workshop for biomedical researchers'를 번역한 내용임)
* 출처 : |
|||||||


서울대 의대
서울대 공대
연대 원주
원주의대
연대치대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균관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
중앙대학교
이화여대
부산대BK
경북대학교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남대학교
국민대
단국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북대 BIT / BK
가톨릭대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광운대학교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이공대학
인천대학교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동아대학교
조선대
경원대학교
제주대학교
가천의과학대학교
CHA 의과학대학교
원주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한남대학교
국립 한국교통대학교
원광대학교
순천대학교